상담사례
계약·문서 60년대 저수지개간은 허가를 받아야하는 제도가없고 사용료는 수리계에납부 하였다면 공익사업에 보상은?
페이지 정보

본문
60년대 저수지 개간이 당시에는 별도의 허가제도가 없었고, 단지 수리계에 사용료만 납부한 경우에 대한 공익사업 보상 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법적 배경 및 제도**
- 1960년대 우리나라는 농지법, 수리조합법 등이 존재했으나, 저수지 개간과 같은 수리시설 주변 토지의 사용에 대해 명확한 허가제도가 미비하였습니다.
- 따라서 당시 개간행위가 불법은 아니었으나, 현대적 의미의 행정적 허가를 받은 경우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 사용료는 수리계(수리조합 등)에 납부하여 사실상 점유 및 사용의 근거로 삼았습니다.
2. **공익사업에서의 보상 원칙**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취득 및 보상은 ‘토지 수용에 관한 법률’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진행됩니다.
- 보상은 원칙적으로 객관적인 소유권 및 점유권, 사용권에 기초하여 이루어집니다.
- 점유자가 사실상 권리를 행사하고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3. **보상 가능성 검토**
- 개간자가 허가를 받지 않았으나, 사용료를 납부하고 수리계 내에서 점유 및 사용하고 있었다면, 사실상의 점유권 내지 사용하는 권리가 인정될 여지가 있습니다.
- 따라서, 해당 저수지 개간지에 대해 공익사업 시행 시 수용 대상 토지로 인정되고,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다만, 개간이 불법 점유나 무단 점유에 해당하면 보상액 산정이나 보상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별 사안별 행정·사법 판단이 필요합니다.
**요약:**
1960년대 저수지 개간이 허가 없이 이루어졌더라도, 사용료 납부 등으로 인해 사실상 점유 및 사용권리가 인정된다면 공익사업 시행 시 보상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보상 범위와 액수는 해당 토지에 대한 점유권, 사용권의 인정 여부 및 관련 법령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관련 전문가와의 상담이나 행정, 법적 절차가 필요합니다.
1. **법적 배경 및 제도**
- 1960년대 우리나라는 농지법, 수리조합법 등이 존재했으나, 저수지 개간과 같은 수리시설 주변 토지의 사용에 대해 명확한 허가제도가 미비하였습니다.
- 따라서 당시 개간행위가 불법은 아니었으나, 현대적 의미의 행정적 허가를 받은 경우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 사용료는 수리계(수리조합 등)에 납부하여 사실상 점유 및 사용의 근거로 삼았습니다.
2. **공익사업에서의 보상 원칙**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취득 및 보상은 ‘토지 수용에 관한 법률’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진행됩니다.
- 보상은 원칙적으로 객관적인 소유권 및 점유권, 사용권에 기초하여 이루어집니다.
- 점유자가 사실상 권리를 행사하고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3. **보상 가능성 검토**
- 개간자가 허가를 받지 않았으나, 사용료를 납부하고 수리계 내에서 점유 및 사용하고 있었다면, 사실상의 점유권 내지 사용하는 권리가 인정될 여지가 있습니다.
- 따라서, 해당 저수지 개간지에 대해 공익사업 시행 시 수용 대상 토지로 인정되고,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다만, 개간이 불법 점유나 무단 점유에 해당하면 보상액 산정이나 보상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별 사안별 행정·사법 판단이 필요합니다.
**요약:**
1960년대 저수지 개간이 허가 없이 이루어졌더라도, 사용료 납부 등으로 인해 사실상 점유 및 사용권리가 인정된다면 공익사업 시행 시 보상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보상 범위와 액수는 해당 토지에 대한 점유권, 사용권의 인정 여부 및 관련 법령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관련 전문가와의 상담이나 행정, 법적 절차가 필요합니다.
로프렌드 등록전문가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이성수 법무사
010-3567-2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