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생활법률 전세 만기가 지났는데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습니다.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와야 돌려주겠다고 합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전세 만기가 지났는데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새로운 세입자가 입주해야 보증금을 준다고 하는 상황은 매우 곤란한 경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조치들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계약서 확인**
우선 전세계약서에 명시된 계약 종료일과 보증금 반환 조건을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전세 만기일 이후에는 집주인이 지체 없이 보증금을 반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2. **내용증명 발송**
집주인에게 보증금 반환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보내십시오. 내용증명은 법적 증거가 되므로, 만기일 이후 보증금 반환을 요구하는 기록으로 남길 수 있습니다.
3. **전세권 침해 및 채권 확인**
보증금을 돌려받을 권리는 전세권(전세계약상의 권리)이므로 집주인의 반환 의무가 법적으로 확실합니다. 임대인이 반환하지 않으면 전세권 침해가 됩니다.
4. **법적 대응**
- **임대차계약 종료 통보 및 반환 요구**: 이미 만기가 지났다면, 계약은 종료된 상태이므로 반환 요구가 정당합니다.
- **전세금 반환 소송**: 내용증명과 구두 요구에도 반환이 안된다면, 변호사 상담 후 전세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경찰에 사기·횡령 고소**: 만약 집주인이 고의로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 사기 또는 횡령 혐의로 고소도 가능합니다.
5.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집주인이 임차권 등기명령을 해주지 않을 경우 법원에 신청하여 전세권 등기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6. **새로운 세입자와의 관계 확인**
집주인이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와야 보증금을 준다′고 한다면, 이는 불법적인 조건일 가능성이 큽니다. 계약 만료 후 보증금 반환은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7.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또는 한국임대인협회 등의 상담**
관할 기관에 상담하여 분쟁 해결을 위한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
### 요약
- 전세 만기 후 즉시 보증금 반환 요구 가능
- 내용증명 등으로 정식 요구
- 반환 거부 시 민사소송 및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가능
- 새로운 세입자 입주 조건은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음
- 법적 조치 전 변호사 상담 권장
필요시 추가로 구체적인 상황(계약서 내용, 대화 내역 등)을 알려주시면 더 상세한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1. **계약서 확인**
우선 전세계약서에 명시된 계약 종료일과 보증금 반환 조건을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전세 만기일 이후에는 집주인이 지체 없이 보증금을 반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2. **내용증명 발송**
집주인에게 보증금 반환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보내십시오. 내용증명은 법적 증거가 되므로, 만기일 이후 보증금 반환을 요구하는 기록으로 남길 수 있습니다.
3. **전세권 침해 및 채권 확인**
보증금을 돌려받을 권리는 전세권(전세계약상의 권리)이므로 집주인의 반환 의무가 법적으로 확실합니다. 임대인이 반환하지 않으면 전세권 침해가 됩니다.
4. **법적 대응**
- **임대차계약 종료 통보 및 반환 요구**: 이미 만기가 지났다면, 계약은 종료된 상태이므로 반환 요구가 정당합니다.
- **전세금 반환 소송**: 내용증명과 구두 요구에도 반환이 안된다면, 변호사 상담 후 전세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경찰에 사기·횡령 고소**: 만약 집주인이 고의로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 사기 또는 횡령 혐의로 고소도 가능합니다.
5.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집주인이 임차권 등기명령을 해주지 않을 경우 법원에 신청하여 전세권 등기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6. **새로운 세입자와의 관계 확인**
집주인이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와야 보증금을 준다′고 한다면, 이는 불법적인 조건일 가능성이 큽니다. 계약 만료 후 보증금 반환은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7.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또는 한국임대인협회 등의 상담**
관할 기관에 상담하여 분쟁 해결을 위한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
### 요약
- 전세 만기 후 즉시 보증금 반환 요구 가능
- 내용증명 등으로 정식 요구
- 반환 거부 시 민사소송 및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가능
- 새로운 세입자 입주 조건은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음
- 법적 조치 전 변호사 상담 권장
필요시 추가로 구체적인 상황(계약서 내용, 대화 내역 등)을 알려주시면 더 상세한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로프렌드 등록전문가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이성수 법무사
010-3567-2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