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민사소송 그러면 채권자가 채권가압류를 취하하고 권리행사에 의한 담보취소신청을 하면 공탁금의 회수가 가능할까요?
페이지 정보

본문
보고서
1. 해설
채권자가 채권가압류를 취하하고, 권리행사에 의한 담보취소신청을 하는 경우, 공탁금의 회수는 원칙적으로 가능합니다.
가압류 결정 전에는 가압류 신청을 취하하거나 신청이 각하되면, 공탁의 원인이 소멸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여 공탁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가압류 결정 후에는 법원의 담보취소결정을 받아야 공탁금을 회수할 수 있고, 본안 소송에서 채권자가 승소한 경우, 혹은 채무자가 담보취소에 동의한 경우, 또는 채권자가 패소 후에도 채무자가 정해진 기간 내 공탁금을 가져가지 않으면 채권자는 담보취소결정에 따라 공탁금 회수가 가능합니다.
즉, 담보취소신청을 법원에 하고, 그 취소결정을 받아 확정증명원을 제출하면 공탁금 회수가 가능합니다.
단, 채무자가 즉시항고 등 권리행사(불복 신청)를 하는 경우, 즉시항고 기간 내에는 공탁금 회수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관련 판례
- 대법원 2000. 7. 18.자 2000마2407 결정
담보취소결정이 내려지더라도, 상대방(채무자)이 즉시항고권이나 재항고권을 행사하면 담보취소결정이 확정되지 않으므로, 해당 기간에는 공탁금 회수가 불가합니다.
→ 따라서, 채무자가 즉시항고권을 포기하는 동의서를 제출하면 담보취소결정이 즉시 확정되어 공탁금 회수가 바로 가능함.
3. 관련 법령
- 민사소송법 제125조
담보 취소에 관한 결정, 담보 취소 신청 등 명시. - 민사집행법 제19조제3항
담보취소신청에 관한 법적 절차 규정. - 공탁법 제9조제2항제3호
담보의 원인 소멸 시 공탁금 회수 절차. - 공탁규칙 제32조, 제34조
공탁물 회수청구서와 첨부서류 관련 규정.
4. 참고 사항
- 채권가압류 취하만으로는 자동적으로 공탁금이 반환되지 않으며, 반드시 법원에 담보취소신청을 하고 취소결정을 받아야 함.
- 담보취소 결정 후라도, 즉시항고(1주일), 재항고 기간 내에는 상대방의 권리행사로 공탁금 회수가 지체될 수 있음.
- 채무자의 동의와 즉시항고권 포기서는 담보취소결정의 확정 및 즉각적인 공탁금 반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 담보취소신청에는 소액의 인지대와 송달료가 필요하며, 신청서, 결정정본, 확정증명원, 공탁서 원본 등 서류를 준비해야 함.
요약 및 안내
채권자가 채권가압류를 취하하고 담보취소신청을 하면, 법원의 취소결정을 받아 공탁금 회수가 가능합니다. 이때 채무자가 즉시항고권을 행사하지 않거나 포기하면 더 신속하게 공탁금을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본 상담은 참고용 정보이며, 필요시 사건의 구체적 사정에 맞는 전문 변호사의 의견을 추가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후속 조치 안내
- 가압류 취하 및 담보취소신청 이후, 법원 제출 서류(취소결정정본, 확정증명원 등)의 준비 및 제출.
- 즉시항고권 포기서 등 채무자의 동의서 취득 시, 더욱 신속한 회수 가능.
- 실제 회수 실무 및 상세 절차는 법원 내 공탁 담당부서 업무 안내 참조.
- 추가적인 쟁점이나 이의가 있는 경우, 전문 변호사와 직접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로프렌드 법률지원센터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법률지원센터
1577-2765